사무엘 에일렌베르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무엘 에일렌베르크는 1913년 바르샤바에서 태어난 유대인 수학자이다. 대수적 위상수학, 호몰로지 대수학, 범주론 분야에 기여했으며, 손더스 매클레인과 함께 범주, 함자, 자연 변환을 정의하여 범주론의 시초를 열었다. 앙리 카르탕과 함께 《호몰로지 대수학》을 저술했고, 노먼 스틴로드와 함께 에일렌베르크-스틴로드 공리를 정의했다. 말년에는 범주론과 오토마타 이론을 연구했으며, 아시아 예술 작품을 수집하여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기증했다. 1986년 울프 수학상, 1987년 스틸 상을 수상했으며,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 유대인 - 카지미에시 파얀스
카지미에시 파얀스는 폴란드 태생의 물리화학자로, 방사능 화학 및 무기화학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프로트악티늄 발견, 파얀스-소디의 방사성 변위 법칙 공식화, 이온 결합 성질 예측 파얀스 규칙 제시 등이 주요 업적이다. - 폴란드 유대인 - 요아브 갈란트
요아브 갈란트는 이스라엘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이스라엘 해군 특수부대에서 복무하고 가자 사단 사령관 등을 역임했으며, 국방부 장관을 거쳐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중 논란이 되어 국제형사재판소의 체포 영장이 발부되었다. - 니콜라 부르바키 - 로랑 슈바르츠
로랑 슈바르츠는 초함수 이론을 구축하여 해석학 발전에 기여하고, 1950년 필즈상을 수상한 프랑스의 수학자이다. - 니콜라 부르바키 - 장크리스토프 요코즈
프랑스 수학자 장 크리스토프 요코즈는 동역학계 이론, 특히 KAM 이론 발전에 기여하고 '요코즈 퍼즐 방법'을 개발하여 1994년 필즈 메달과 1988년 살렘 상을 수상했으며 파리-쉬드 대학교와 프랑스 공과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 폴란드의 수학자 - 스타니스와프 울람
폴란드계 미국인 수학자이자 핵무기 개발자인 스타니스와프 울람은 르비우 수학파의 일원으로서 맨해튼 계획에 참여하여 수소 폭탄 개발에 기여했으며 몬테카를로 방법 개발, 텔러-울람 설계 고안 등 현대 과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폴란드의 수학자 - 브누아 망델브로
브누아 망델브로는 프랙탈 기하학의 창시자로서 자연 현상의 불규칙성과 자기 유사성을 설명하는 '프랙탈' 개념을 도입하고 금융 시장 변동성 분석에 프랙탈 이론을 적용한 폴란드 태생의 프랑스-미국 수학자이자 과학자이다.
사무엘 에일렌베르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13년 9월 30일 |
출생지 | 러시아 제국 폴란드 회의국 바르샤바 |
사망일 | 1998년 1월 30일 |
사망지 | 미국 뉴욕 주 뉴욕 |
국적 | 러시아 제국 폴란드 미국 |
분야 | 수학 |
근무지 | 미시간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인디애나 대학교 |
모교 | 바르샤바 대학교 |
박사 학위 지도교수 | 카지미에시 쿠라토프스키 카롤 보르수크 |
주요 제자 | 조너선 벡 데이비드 북스바움 마틴 찰스 골룸빅 다니엘 칸 윌리엄 로베어 라마이엥가르 스리다란 마일스 티어니 |
알려진 업적 | 비순환 모형 범주론 X-기계 약한 차원 사영 가군 섞음 대수 단체 집합 표준 복합체 에일렌베르크의 장애 이론 에일렌베르크 스윈들 에일렌베르크-가네아 추측 에일렌베르크-가네아 정리 에일렌베르크-매클레인 공간 에일렌베르크-무어 스펙트럼 열 에일렌베르크-니벤 정리 에일렌베르크-스틴로드 공리 에일렌베르크-질버 정리 카르탕-에일렌베르크 분해 슈발레-에일렌베르크 복합체 |
수상 | 울프 수학상 (1986년) 르로이 P. 스틸 상 (1987년) |
2. 생애
사무엘 에일렌베르크는 1913년 당시 러시아 제국에 속했던 바르샤바에서 태어나, 1936년 바르샤바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39년 나치 독일의 폴란드 침공 이후 미국으로 건너갔다. 오랫동안 컬럼비아 대학교 수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수학자 집단 부르바키의 일원이었다. 1998년 1월 뉴욕에서 사망했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1913년 러시아 제국령 바르샤바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바르샤바 대학교에서 카지미에시 쿠라토프스키와 카롤 보르수크의 지도 아래 "원에의 사상의 위상적 응용에 관하여"라는 논문으로 1936년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 1939년 나치 독일의 폴란드 침공 이후 미국으로 건너갔다.2. 2. 학문적 경력
에일렌베르크는 바르샤바 대학교에서 1936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10] 주요 업적은 대수적 위상수학과 이로부터 파생된 호몰로지 대수학, 범주론에 속한다. 손더스 매클레인과 함께 1945년 범주와 함자, 자연 변환을 정의하였는데,[10][11] 이는 범주론의 시초로 여겨진다. 앙리 카르탕과 함께 교재 《호몰로지 대수학》[12]을 1956년 저술하였고, 노먼 스틴로드와 같이 에일렌베르크-스틴로드 공리를 정의하였다.말년에는 주로 범주론과 오토마타 이론을 연구하였다. 1974년 에일렌베르크는 X기계(X-machine영어)라는 오토마타를 정의하였다.[13]
2. 3. 수상 경력
사무엘 에일렌베르크(Samuel Eilenberg영어)는 1986년에 울프 수학상, 1987년에 스티일 상을 수상했다.2. 4. 예술품 수집
에일렌베르크는 아시아 예술 작품 수집가였다. 그는 인도,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네팔, 타이, 캄보디아, 스리랑카, 중앙 아시아 등지의 조각들을 수집하였으며, 이들 상당수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기증되었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은 1991~1992년에 에일렌베르크 컬렉션 특집을 열었다.[14]1991년에서 1992년까지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은 에일렌베르크가 미술관에 기증한 400점 이상의 소장품을 "연꽃 초월: 사무엘 에일렌베르크 컬렉션의 인도 및 동남아시아 미술"이라는 제목의 전시로 선보였다.[4][5] 이에 대한 보답으로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은 컬럼비아 대학교의 사무엘 에일렌베르크 수학 방문 교수 기금에 상당한 기부를 했다.[6][7]
3. 주요 논문 및 저서
- Automata, Languages and Machines영어''.
- On the Lusternik-Schnirelmann category of abstract groups영어, Annals of Mathematics, 2nd Series, Vol. 65, No. 3 (1957), pp. 517–518.
- Samuel Eilenberg & Saunders Mac Lane, "Relations between homology and homotopy groups of spaces", ''Annals of Mathematics'' '''46''' (1945), 480–509.
- Samuel Eilenberg & Saunders Mac Lane, "Relations between homology and homotopy groups of spaces. II", ''Annals of Mathematics'' '''51''' (1950), 514–533.
- Limits and spectral sequences영어, Topology, Vol. 1, No. 1 (1962), pp. 1–23.
- The "fundamental theorem of algebra" for quaternions영어,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Vol. 50, No. 4 (1944), pp. 246–248.
- Axiomatic approach to homology theory영어,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Vol. 31, No. 4 (1945), pp. 117–120.
- Samuel Eilenberg & Norman E. Steenrod, ''Foundations of algebraic topolog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ew Jersey, 1952. xv+328 pp.[15]
- Automata, Languages and Machines영어, Vol. A, Academic Press (1974).
- Automata, Languages and Machines영어, Vol. B, Academic Press (1976).

참조
[1]
웹사이트
Samuel Eilenberg - Biography
https://mathshistory[...]
2024-07-26
[2]
MathGenealogy
[3]
논문
Review: ''Homological algebra'', by Henri Cartan and Samuel Eilenberg
http://www.ams.org/j[...]
[4]
뉴스
Samuel Eilenberg, 84, Dies; Mathematician at Columbia
https://www.nytimes.[...]
1998-02-03
[5]
웹사이트
The Lotus Transcendent: Indian and Southeast Asian Art from the Samuel Eilenberg Collection -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s://www.metmuseu[...]
2024-07-26
[6]
논문
Samuel Eilenberg (1913–1998)
https://www.ams.org/[...]
[7]
웹사이트
Department of Mathematics at Columbia University - FALL 2023 SAMUEL EILENBERG LECTURES
https://www.math.col[...]
2024-07-26
[8]
논문
Review: ''Foundations of Algebraic Topology'', by S. Eilenberg and N. Steenrod
http://www.ams.org/j[...]
[9]
웹사이트
ホモロジー代数学
https://www.sugakush[...]
数学書房
[10]
저널
[11]
서적
https://plato.stanfo[...]
[12]
저널
Review: ''Homological algebra'', by Henri Cartan and Samuel Eilenberg
http://www.ams.org/j[...]
[13]
간행물
Automata, Languages and Machines, Vol. A
Academic Press, London
[14]
뉴스
Samuel Eilenberg, 84, Dies; Mathematician at Columbia
http://www.nytimes.c[...]
1998-02-03
[15]
저널
Review: ''Foundations of algebraic topology'', by S. Eilenberg and N. Steenro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